쿠팡, 1분기 영업이익 61% 급감…중국 업체 대응·파페치 손실 여파
쿠팡이 올해 1분기(1~3월) 실적에서 예상치를 밑도는 부진한 성적표를 공개하며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이상 줄었고, 순이익은 적자로 전환됐다. 이는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국내 시장 진입과 지난해 말 인수한 명품 플랫폼 ‘파페치’의 손실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미국 증시에 상장된 쿠팡은 8일(현지시간)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71억1400만 달러(약 9조4500억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000만 달러(약 531억 원)로, 61% 급감했다. 외형은 성장했지만 수익성은 크게 악화된 것이다.
이번 영업이익 감소는 2022년 3분기 흑자 전환 이후 처음이다. 직전 분기 대비로도 이익이 9000만 달러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순이익도 법인세 등을 제외한 후 -318억 원을 기록하며 7개 분기 만에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시장 예상과의 격차도 컸다. JP모건은 쿠팡의 1분기 영업이익이 206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수치는 그보다 약 1500억 원 낮았다. 실적 발표 직후 시간 외 거래에서 쿠팡 주가는 6~7% 하락해 약 21달러 선에서 거래됐다.
부진한 실적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명품 플랫폼 파페치에서 발생한 손실이다. 쿠팡이 지난해 말 인수한 파페치에서는 411억 원 규모의 손실(EBITDA 기준)이 발생했다. 이에 대해 김범석 쿠팡 의장은 실적 발표 이후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 “파페치와의 여정은 아직 초기 단계”라며 “올해 말까지는 상각 전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당분간 파페치에서의 실적 회복이 쉽지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 다른 실적 악화의 배경은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들의 국내 시장 공세다.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업체들이 공격적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쿠팡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상품 확보, 물류 확장, 마케팅 강화에 많은 비용을 들였다. 김 의장은 “중국 커머스 기업의 진입은 업계의 진입 장벽이 낮다는 점을 반영하며, 소비자들은 클릭 한 번으로 빠르게 다른 쇼핑 옵션으로 이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대만 시장에서의 성과 부진도 수익성 악화에 일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는 쿠팡이 지난 3월 와우 멤버십 월 요금을 58.1% 인상한 배경에도 이러한 수익성 우려가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한편 쿠팡은 향후 공격적인 투자 확대 계획도 함께 밝혔다. 김 의장은 “배송 속도를 더 높이고, 도서·산간 지역을 포함한 전 지역에서 무료 배송이 가능하도록 대규모 물류 투자를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국산 중소기업 제품의 거래 규모를 지난해 130억 달러에서 올해 160억 달러로 확대하고, 와우 멤버십 혜택 강화를 위해 전년 대비 많은 4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실적 발표는 쿠팡의 성장 전략이 외형 확대에 머무르지 않고, 수익성 확보와 시장 경쟁 대응이라는 이중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